2023. 2. 26. 06:30ㆍBook
2장
하브루타의 목표는 우리의 생각을 뒤집어 놓는다.
이스라엘 사람에게 하브루타가 필요한 것은 토라, 즉 구약성경을 전하기 위해서였다.
토라를 해석한 탈무드를 통해서 다시 토라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하브루타가 필요했다.
하브루타의 필요성이다.
역순으로 말하면 하브루타를 하는 것은 탈무드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고, 탈무드는 토라의 말씀을 알게 하기 위한 설명서라고 할 수 있다.
원전과 해석서를 통해서 하브루타를 하게 된다.
결국 하브루타는 종교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의 하나다.
그래서 하브루타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지식보다는 소통에 무게를 두고, 지식보다는 덕성을, 지식보다 공동체에 중량감을 두고 있다.
그리고 하브루타는 지식보다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고 있다.
이스라엘 교육의 목표가 결국은 이스라엘 사람을 이스라엘 사람으로 만드는 것에 있었듯이 우리 한국인의 교육목표도 흔들림 없이 한국인을 한국인답게 만들어야 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한국인의 정신과 기질 그리고 한국인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우리 한국, 한국인, 한민족은 어떤 존재인가부터 시작해야 한다.
나라와 나라의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상황에서 지역적인 의미보다는 정신적인 것을 찾아내야 한다.
그럼에도 중요한 것이 정체성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상대인 너는 누구인가, 그리고 내가 태어나고 자라고 있는 우리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나를 알아야 남을 이해할 수 있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뭐라 해도 내가 살아있어야 한다
그리고 왜 살아있어야 하는가를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나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필요하다.
정체성은 나의 존재파악에 있고, 가치관은 내가 가치 있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다.
인생이란 나를 세상에서 살아가게 하는 것이다.
'나'를 버리고 '나'를 살 수는 없다.
결국 나를 데리고 살아야 한다.
하브루타는 인성교육과 정체성 교육을 통해서 완성되도록 하는 방법의 하나다.
*하브루타 토론의 혁명
하브루타의 위대함은 다른 생각을 가진 짝을 상대로 토론한다는 전제 조건의 위대함이다.
독단에 갇히지 않게 하는 학습법, 하브루타.
나 혼자만이 옳다고 주장할 수 없는 세상을 만들어 놓은 것이 하브루타다.
완벽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보완이며 보다 좋은 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브루타는 합의와 소통의 대화술이다.
두 사람이 각자의 생각을 가지고 보다 나은 방안을 찾으려 노력하는 것은 아름다운 풍경이다.
합리적인 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교육법이다.
내 생각만이 옳다는 어리석음을, 나 혼자만의 생각이 옳다는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하브루타는 히브리어로 '친구'를 뜻한다.
공부하는 상대방, 다시 말해 짝을 뜻하기도 한다.
짝이 친구와 같은 어원에서 나왔다.
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함께 공부하는 짝궁', 그것이 하브루타다.
하브루타는 인생을 함께 하는 친구 중에서도 공부를 같이 하는 친구다.
학문적인 친구를 인생에서 만나기 쉽지 않다.
한국사회에서는 하나의 주제를 놓고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며 공부의 세계로 들어가는 친구는 만나기 어렵다.
이스라엘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학문을 함께 하는 친구다.
깊은 우정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하브루타다.
그리고 하브루타의 짝이 된다는 것은 한 사람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간과 경험이다.
철학과 사상을 공유할 수 있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 하브루타다.
짝과 함께 공부하고 랍비와 스승을 두고 공부하면서도 이렇게 말한다.
"스스로 스승이 되어라. 그리고 친구를 찾아라. 그리고 모든 사람을 호의적으로 판단하라."
학문과 친구를 만나게 하는 하브루타는 인생을 책임질 수도 있는 학습법이다.
결국 하브루타의 힘은 끝없는 대화와 토론으로 스스로 자기주도 학습을 펼칠 수 있는 짝을 통해 공부하고, 최종적으로 좋은 스승을 만나 자기 완성에 도움을 받는 것이다.
혼자만의 힘이 아니라 짝과 스승이 다 함께 있다.
동등한 입장의 짝과 배울 수 있는 스승이 함께 필요한 것이 하브루타다.
출처: <하브루타 조용한 질문혁명>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브루타> 이스라엘 교육법 5 (0) | 2023.02.26 |
---|---|
<하브루타> 이스라엘 교육법 4 (0) | 2023.02.26 |
<하브루타> 이스라엘 교육법 2 (2) | 2023.02.26 |
<하브루타> 이스라엘 교육법 1 (4) | 2023.02.26 |
<아버지가 딸에게 들려준 이야기들>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