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문장들, 서툰 어른을 위한 진화심리학자의 위로> 3장

2023. 3. 4. 11:58Book

728x90
반응형
BIG

 

 

3장

 

목표에 대한 걱정과 불안은 우리가 목표를 성취하기 전까지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한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좋은 결과를 얻는다면 우리에게 순간적으로 큰 쾌감을 줄 것이다.

이러한 감정은 도파민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쾌감을 다시 경험하기 위해 또다시 비슷한 선택을 반복하도록 하기 위한 우리 몸속의 장치다.

하지만 도파민의 분비와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좋은 결과를 얻은 그순간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바로 감소하기 시작해서 곧 사라진다.

아무리 좋은 측면이 지속된다 한들 마찬가지다.

과거의 우리 선조들도 그랬을 것이다.

운 좋게 거대한 매머드 사냥에 성공했을 때 쾌감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 지속되었다면, 이 행복한 사냥꾼은 더 이상 사냥을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굶어 죽었을 것이다.

쾌락 적응은 좋은 결과를 내는 일을 많이 하도록 우리 몸이 고안해 놓은 정교한 장치다.

이러한 경향성은 우리가 살아남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우리의 정서적 행복에는 방해가 된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모든 생명체는 행복하도록 진화한 것이 아니라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도록 진화한 것을.

 

행복이란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하는 행운이 아니다.

승진이나 내집 마련, 결혼과 출산 등 또 다른 인생의 과제들에 대한 걱정과 불안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미래에 대한 염려가 소중한 현재의 행복을 너무 많이 가져가도록 두지 말자.

더 이상 행복을 미루다가 지금의 행복을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사실 우리의 환경과 조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우리가 느끼는 행복의 약 10% 정도만이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그리고 이때 말하는 환경이란 가정생활, 소득수준, 사회경제적 지위 등 모든 외부 환경 조건을 다 포괄하는 것이니, 하나하나의 조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미미하다.

그럼 나머지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행복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행복의 50%는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우리의 유전 조건이나 환경 조건을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니 행복의 40%를 구성하는 마지막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일상의 활동들 속에 있다.

우리가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끊임없이 엉뚱한 곳에서 행복을 찾아 헤매게 될 지 모른다.

 

진화한 심리 기제는 우리에게 삶의 위험 요소들을 피하거나, 과거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었던 여러 가지 것들을 욕망하는 데 집중하도록 만든다.

문제는 우리의 진화한 심리 기제들 때문에, 즉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들 때문에, 행복이 바로 우리 곁에 있어도 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사상가 헬렌 켈러가 "행복의 한쪽 문이 닫히면 다른 쪽 문이 열린다. 그러나 우리는 닫힌 문을 계속 보다가 열린 문을 보지 못한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일 것이다.

즐거움과 행복의 감정은 과거도 미래도 아닌 내가 경험하는 현재의 일이다.

 

출처: <마흔의 문장들, 서툰 어른을 위한 진화심리학자의 위로>

728x90
반응형
BIG